맨위로가기

화이하이 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이하이 전역은 1948년 11월부터 1949년 1월까지 중국 공산당과 중화민국 국민당 간에 벌어진 대규모 군사 작전으로, 중국 공산당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 이 전역은 크게 쑤저우 포위, 솽두이지 전역, 쑤저우 함락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국민당군은 전략적 판단 오류, 지휘관 간의 불화, 부패 등으로 인해 패배했으며, 장제스 직속 부대의 막대한 손실은 그의 입지를 약화시켰다. 반면 공산군은 뛰어난 전략과 민중의 지지를 바탕으로 승리하여 장강 이북 지역을 장악하고 난징과 상하이를 위협하며 중국 대륙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 전역의 결과로 장제스는 총통직에서 물러났고, 미국의 지원이 끊기면서 중국 대륙의 공산화를 가속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중국 - 핑진 전역
    핑진 전역은 1948년 11월부터 1949년 1월까지 화북 지역에서 벌어진 국공 내전 중 인민해방군과 국민혁명군 간의 전투로, 인민해방군이 화북 지역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1948년 중국 - 창춘 포위전
    창춘 포위전은 국공내전 중 공산당이 국민당 점령하의 창춘을 포위하여 벌어진 전투로, 도시 봉쇄 과정에서 대규모 아사자가 발생하며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1949년 중국 - 핑진 전역
    핑진 전역은 1948년 11월부터 1949년 1월까지 화북 지역에서 벌어진 국공 내전 중 인민해방군과 국민혁명군 간의 전투로, 인민해방군이 화북 지역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1949년 중국 - 구닝터우 전투
    구닝터우 전투는 1949년 10월 인민해방군의 금문도 공격을 중화민국 국군이 성공적으로 방어한 전투로, 구 일본군 고문단의 작전 지도와 M5 스튜어트 전차 활용이 승리에 기여했으며, 중화민국 국군의 사기 진작과 양안 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1949년 분쟁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1949년 분쟁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봉기 사태와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남로당 무장봉기와 미군정 및 이승만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되었으며, 현재 진상 규명 노력과 국가의 공식 사과가 이루어졌으나 폭동과 항쟁이라는 시각이 대립하며 논쟁이 진행 중이다.
화이하이 전역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인민해방군 병사들이 M5 스튜어트 경전차의 지원을 받아 국민당 전선을 공격하는 모습
인민해방군 병사들이 M5 스튜어트 경전차의 지원을 받아 국민당 전선을 공격하는 모습
분쟁중국 국민당-공산당 내전
다른 이름쉬방 회전(徐蚌會戰)
전투 기간1948년 11월 6일 ~ 1949년 1월 10일
위치중화민국 산둥성, 장쑤성, 안후이성, 허난성
결과중국 공산당의 승리, 장강 이북 점령
교전 세력
교전국 1중화민국
교전국 1 - 부대중화민국군
쉬저우 경비 총사령부
교전국 2중국 공산당
교전국 2 - 부대제2야전군
제3야전군
지휘관
지휘관 1류즈
두위밍(포로)
황웨이(포로)
황바이타오(전사)
추칭촨(전사)
후롄
리미
리옌녠
류루밍
쑨위안량
지휘관 2류보청
덩샤오핑
쑤위
탄전린
천이
병력 규모
병력 규모 180만 명
병력 규모 2110만 명 (정규군 60만 명, 민병대 50만 명)
피해 규모
피해 규모 1총 555,099명 (327,000명 포로 또는 전향)
피해 규모 2총 134,000명

2. 배경

1948년 9월 24일, 공산군은 지난을 점령하고 산둥성 대부분을 장악했다. 이에 공산군은 산둥 성에 남아있는 국민당군 잔여 병력과 쉬저우에 주둔한 주력 부대를 공격할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3] 만주에서의 군사적 상황이 악화되자 중화민국은 공산군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진푸선 양쪽에 병력을 배치했다.[3]

장제스는 장강과 화이허 일대를 방어하고 난징을 지키기 위해 징후 선과 룽하이 선 철도를 이용하여 쉬저우를 중심으로 80만 명의 병력을 배치했다. 이에 맞서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화둥 야전군, 중원 야전군, 화둥 군구 부대를 합쳐 60만 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하여 쉬저우를 포위하고 국민당군을 섬멸하는 작전을 결정했다. 이들은 동쪽의 하이저우에서 서쪽의 상추 시까지, 북쪽의 린청 현에서 남쪽의 화이허까지 넓은 전선을 형성했다.

쑤위는 지난 전투의 승세를 몰아 화이인 구, 화이안 구, 바오잉 현, 가오유 시, 하이저우, 롄윈 구의 국민당군을 격파하는 작전을 건의했고, 이 작전은 '화이하이 전역'으로 명명되어 즉시 승인되었다.

2. 1. 공산군 전략

쑤위 화동야전군 사령관은 산둥성에 주둔하던 중화민국 국군 6군과 7군을 포위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승인되었고, 류보청, 천이, 덩샤오핑의 중원야전군에게는 산둥으로의 진출을 위해 허난성안후이성에 있는 중화민국 국군 사령부를 공격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3]

3. 진행 과정

1948년 11월부터 1949년 1월 벌어진 핑진 전역(북쪽)과 화이하이 전역(남쪽)


제2차 국공 내전의 3대 전역 중 하나로서의 화이하이 전역을 표시한 지도


화이하이 전역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쑤저우 포위'''(1948년 11월 6일 ~ 11월 22일): 중국 공산당 군대가 쑤저우를 포위하면서 국민당군을 압박했다. 이 과정에서 황바이타오가 이끄는 제7병단이 전멸하고 황바이타오는 자결했다.
  • '''솽두이지 전역'''(1948년 11월 23일 ~ 12월 15일, 현재 안후이성 쑤이시 현 솽두이지 진): 황웨이의 제12병단이 솽두이지 지역에서 포위되어 격멸되었다. 황웨이는 생포되었고, 후롄은 중상을 입은 채 탈출했다.
  • '''쑤저우 함락'''(1948년 12월 23일 ~ 1949년 1월 10일): 두위밍 부대에 대한 총공격으로 국민당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 추치우취안은 자결하고, 두위밍은 포로가 되었다. 리미는 탈출에 성공했지만, 국민당군은 화이허강 이북 지역을 상실했다.


1948년 9월 24일 지난 전투에서 중공군이 승리한 후, 중국 인민해방군은 산둥성에 남아있는 국민당 군대와 쉬저우에 주둔한 주력 부대를 상대하기 위한 대규모 작전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랴오선 전역에서 군사적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자, 국민당 정부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남하를 저지하고 양쯔 강으로 진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톈진-푸커우 철도 양쪽에 병력을 배치하기로 결정했다.[3]

수위는 중국 공산당 군사 위원회에 작전 계획을 제안했는데, 이 계획은 산둥성에 주둔하고 있는 국민당 제6군과 제7군을 포위하는 것이었다. 위원회는 이 계획을 신속히 승인하고, 중원 야전군의 류보청, 천이(동부 중국 야전군 사령관이자 중원 야전군 연락 담당), 덩샤오핑(중원 야전군 정치 위원)에게 허난과 안후이에 있는 국민당 수비대를 공격하여 산둥으로 돌파하라고 명령했다.[3]

3. 1. 쑤저우 포위 (1948년 11월 6일 ~ 11월 22일)

1948년 11월 6일 밤, 중국 공산당의 화동 야전군이 화이하이 전역의 서막을 열었다. 당시 중국 국민당 본부는 롄윈강에 주둔하고 있던 리옌녠 부대, 신안전의 황바이타오 부대, 차오바지 집의 리미 부대를 순차적으로 철수시켜 쉬저우 동쪽 교외에 배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리미 부대는 황바이타오 부대의 철수를 기다리지 않고 쉬저우로 돌아갔고, 황바이타오 부대는 리옌녠 부대가 다윈허를 건너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어 3일 동안 발이 묶였다.[3]

11월 8일, 공산당 지하당원 허지펑과 장커샤는 제59군과 제77군 2만 3천 명과 함께 공산당군에 합류했다. 이들은 황바이타오의 제7병단의 측면 전부를 노출시켰을 뿐만 아니라, 리미 부대의 앞당긴 철수에 대해서도 알렸다. 또한, 해방군을 이용하여 제7병단의 퇴로를 신속하게 차단했다. 이로 인해 제7병단은 다윈허를 건너기 위해 3개 사단을 희생해야 했다. 결국 제7병단은 7개 사단이 남았지만, 쉬저우의 공격과 후방에서 해방군의 추격으로 11월 11일까지 쉬저우 동쪽의 롄좡 지구에서 양측에 포위되었다.[3]

당시 쉬저우 남쪽에서는 쑤현 방어를 맡고 있던 쑨위안량 부대가 쉬저우로 철수했고, 쑤현에서 싸우던 류루밍 부대도 남쪽으로 퇴각하고 있었다. 공산당의 중원 야전군은 쑤현을 점령하고, 쉬저우 수비대가 방부로 철수하는 퇴로를 끊었다.

장제스화중의 황웨이와 방부의 리옌녠, 류루밍 각 부대에 북쪽으로 진군하여 쑤현을 탈환하라고 명령했다. 더불어 쉬저우의 추칭취안과 리미에게는 동진하여 황바이타오 부대를 구출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추칭취안은 황바이타오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공산당에게 포위될 것을 두려워하여 제7병단을 구원하는 데 적극적이지 않았다. 결국 11월 22일, 제7병단 10만 명은 해방군에 의해 전멸당했고, 황바이타오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일설에는 포위망을 돌파하려다가 공산당군의 총격에 맞아 사망했다고도 한다).[3] 방부의 리옌녠과 류루밍 부대는 공산당군에게 먼저 공격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북진을 미루었고, 이는 화중의 황웨이를 고립시켜 국민당에 불리한 상황을 초래했다.

3. 2. 솽두이지 전역 (1948년 11월 23일 ~ 12월 15일)



1948년 11월 23일, 중국 인민해방군 중원야전군은 남쪽에서 증원 온 황웨이의 제12병단을 쑤현 남서쪽 솽두이지 지역에서 포위했다.[3] 당시 화이하이 전역 전황은 난징 국민정부에게 매우 불리했다. 황바이타오의 부대가 전멸했고, 쉬저우에서 蚌埠(방푸)로 가는 퇴로도 쑤현이 점령되어 끊겼다. 설상가상으로 화중에서 증원 온 황웨이의 제12병단마저 포위되어 전멸 위기에 놓였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군 본부는 쉬저우에 주둔하던 추칭취안, 리미, 쑨위안량의 3개 부대에게 쉬저우를 포기하고 강남으로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948년 11월 28일, 국민군 쉬저우 공격 총사령관 류즈가 쉬저우를 떠났다. 1948년 11월 30일에는 부총사령관 두위밍의 지휘 아래 30만 명의 쉬저우 수비 부대가 쉬저우를 버리고 남서쪽으로 철수했다. 그러나 장제스의 명령으로 부대 방향이 바뀌어, 쉬저우에서 동남쪽으로 출격해 황웨이 부대를 구출하게 되었다. 추칭취안과 리미의 부대는 병력을 동남쪽으로 돌렸지만, 결국 화둥야전군에 포위되었다.[3]

류루밍 장군의 제8군과 리옌녠 중장의 제6군은 공산군의 포위를 뚫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제12군도 প্রায় 한 달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소멸되었고, 새로 포로가 된 많은 국민당 병사들은 공산군에 합류했다.[3]

12월 6일, 국민군 제16병단은 보조를 맞추지 못하고 포위망 돌파를 시도하다 대부분의 병력을 잃었다. 같은 날, 공산군은 황웨이의 제12병단에 대한 공격을 시작해 12월 15일까지 12만 명의 사상자를 냈다. 사령관 황웨이는 생포되었고, 부사령관 후롄은 중상을 입은 채 전차로 포위망을 뚫었다.[3] 국민혁명군 34개 사단이 손실되고, 추칭취안과 리미의 부대 22개 사단도 포위되면서 국민당의 패색은 짙어졌다.

3. 3. 쑤저우 함락 (1948년 12월 23일 ~ 1949년 1월 10일)

1949년 1월 6일, 공산군은 포위하고 있던 두위밍 부대에 대해 총공격을 개시했다. 이 공격으로 제13병단의 대부분이 궤멸되었고, 남은 병력은 제2병단으로 패주했다.[3] 그러나 제2병단 역시 공격을 받아 사령관 추치우취안이 자살했고, 두위밍은 포로로 잡혔다. 리미는 체포되었으나 후에 탈출에 성공했다. 벙부에 있던 리옌녠과 류루밍의 부대가 화이허강에서 창장강에 이르는 지역을 포기하고 창장강 남안으로 철수함으로써, 화이하이 전역은 종결되었다.[3]

4. 결과

황푸 군관학교를 졸업한 장제스 직속 부대의 엄청난 손실은 중화민국에서 장제스의 입지를 심각하게 좁혔다.[6] 리쭝런, 바이충시와 같은 과거 정치적 라이벌들의 압박으로 장제스는 임시 은퇴를 선포했다.[6] 공산군이 창장으로 접근함에 따라 대세는 공산군에 심각하게 기울어졌다. 공산군의 창장 도하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던 난징의 중화민국 정부는 미국의 지지와 군사 원조를 잃었다.[6] 그 결과, 국민정부 주석 장제스는 1949년 1월 21일에 사임했다.[6]

화이하이 전역에서 승리한 공산당군은 창장 이북의 화둥 지역과 중원의 넓은 지역을 영향권 안에 두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당시 중화민국의 정치적 중심지였던 난징과 경제적 중심지였던 상하이는 공산당군의 직접적인 위협 아래 놓이게 되었다.[6] 또한, 화이하이 전역을 통해 장제스의 황푸군 계열 부대의 손실이 커지면서 정부 내에서 장제스의 지위가 흔들렸다. 리쭝런이나 바이충시와 같은 신광시 파벌은 이 기회를 틈타 장제스를 공격했고, 이듬해 장제스는 은퇴하게 되었다.[6] 경험 있는 주력 부대의 손실은 그 이후 전투에서 국민당군의 전력을 떨어뜨렸고, 지방에서 징병된 병사와 재편성된 소군벌 부대가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서 반격할 수 없게 되어 공산당군의 창장 도하와 창장 이남 지역 장악을 허용하게 되었다.[6]

역사학자 뚜웨이윈은 "국공 내전에는 3대 전역밖에 없다고 하지만, 3대 전역도 실제로는 (화이하이) 1대 전역밖에 없다"고 평가했다.[6]

5. 원인과 영향

1948년 9월 24일 지난이 공산군에게 함락된 이후, 공산군은 산둥성중화민국 국군 잔여 병력과 쑤저우의 주력군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만주 지역의 군사적 상황이 악화되자, 중화민국은 공산군이 장강을 넘어 남쪽으로 진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징후 철로 양쪽에 병력을 배치했다.

쉬저우의 화이하이 전역 기념탑


장제스가 직접 지휘하는 황푸 군관학교 출신 군대의 막대한 손실은 국민 정부 내에서 장제스의 지위를 약화시켰다. 리쭝런바이충시 등 정치적 경쟁자들의 압력으로 장제스는 일시적으로 은퇴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장강에 접근하면서 전세는 완전히 중국 공산당 쪽으로 기울었다. 인민해방군의 장강 도하를 막을 효과적인 대책이 없자, 난징의 국민 정부는 미국의 지원을 잃기 시작했고, 미국의 군사 원조도 점차 중단되었다. 결국, 국민 정부 주석 장제스1949년 1월 21일에 사임했다.

화이하이 전역에서 승리한 공산당군은 장강 이북의 화둥 지역과 중원의 넓은 지역을 장악했다. 이로써 당시 중화민국의 정치적 중심지였던 난징과 경제적 중심지였던 상하이는 공산당군의 직접적인 위협에 놓이게 되었다. 또한, 화이하이 전역으로 장제스의 황푸군 계열 병력이 큰 손실을 입으면서 정부 내에서 장제스의 지위가 흔들렸다. 리쭝런이나 바이충시와 같은 신광시 파벌은 이 기회를 틈타 장제스를 공격했고, 이듬해 장제스는 은퇴하게 되었다.[6] 경험 많은 주력 부대의 손실은 이후 전투에서 국민당군의 전력 저하를 초래했고, 지방에서 징집된 병력과 재편성된 군벌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서 반격할 수 없게 되어 공산당군의 장강 도하와 장강 이남 점령을 허용하게 되었다.

6. 화이하이 전역을 다룬 작품

大决战|대결전중국어』은 1991년 중국 팔일영화제작창에서 제작한 영화이다. 중화인민공산당 창당 7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대서사 전쟁 3부작 《결전》의 두 번째 작품으로, 화이하이 전역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구웨가 마오쩌둥 역, 자오헝둬가 장제스 역, 푸쉐청이 류보청 역, 류시톈이 천이 역, 셰웨이차이가 쑤위 역, 루치가 덩샤오핑 역, 쉬정윈이 두위밍 역, 쉬환산이 황바이타오 역, 셩종이 추칭취안 역을 맡았다.

集结号|집결호중국어』 (전장의 레퀴엠)는 2007년 중국 화의형제영화유한공사에서 제작한 영화로, 화이하이 전역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5] 상하이 영화 스튜디오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60주년을 기념하여 2009년에 제작한 영화 《건국대업》에도 화이하이 전역을 다룬 장면이 있다.

참조

[1] 학위논문 Analyzing Two Key Points of the Huaihai Campaign Using Sun Tzu's Net Assessment https://scholarwork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 2022-04-22
[2] 학위논문 Analyzing Two Key Points of the Huaihai Campaign Using Sun Tzu's Net Assessment https://scholarwork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 2022-04-22
[3] 서적 Moving the Enemy: Operational Art in the Chinese PLA's Huai Hai Campaign http://cgsc.leavenwo[...]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4] 서적 The Collapse of Nationalist China: How Chiang Kai-shek Lost China's Civil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5] 웹사이트 The Founding of a Republic (2009) https://www.imdb.com[...]
[6] 서적 蔣介石功過録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